홈택스 원천징수영수증 발급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아래 동선만 그대로 따라가면 PC와 모바일 양쪽에서 3분이면 끝나요. 2025년 기준 경로, 퇴사 시 주의점, 제출용·확인용 차이까지 깔끔히 정리했습니다.
3단계로 끝내는 홈택스 원천징수영수증 발급
① 홈택스 로그인 → My홈택스
② 소득·연말정산 → 지급명세서·원천징수영수증 내역
③ 귀속연도·소득유형(근로/사업/퇴직 등) 선택 → 미리보기 → 인쇄(PDF 저장)
PC에서 하는 홈택스 원천징수영수증 발급 (출력·PDF 저장)
PC는 화면이 넓어 한눈에 보기 편합니다. 홈택스 원천징수영수증 발급 경로는 다음과 같아요.
1) 홈택스 접속 → 로그인
2) My홈택스 → 소득·연말정산 → 지급명세서·원천징수영수증 내역
3) 귀속연도 선택(예: 2024) + 소득유형 선택(근로/사업/퇴직 등)
4) 미리보기에서 인쇄 클릭 → PDF로 저장하거나 바로 출력
모바일 손택스에서 빠르게 확인·저장
외근 중에도 가능하죠. 손택스 앱 로그인 → 연말정산·지급명세서 메뉴에서 내역을 조회하고 공유/저장으로 PDF 만들면 됩니다. 다만 화면 상단에 ‘근로자 확인용’ 표기가 있을 수 있어요. 기관 제출용 요구 시에는 회사 발급본이 더 안전합니다.
퇴사 시 체크리스트 — 조회가 안 보일 때
퇴사 직후 홈택스 원천징수영수증 발급이 비어 보인다면 대개는 회사(원천징수의무자)가 지급명세서를 아직 제출하지 않았거나, 제출 후 국세청 반영 대기일 가능성이 큽니다. 아래를 순서대로 확인해 보세요.
- 귀속연도/소득유형을 맞게 선택했는지
- 회사에 해당 연도 지급명세서 제출 완료 여부 문의
- 은행·관공서 제출용 필요 시 회사 발급 원본 요청
제출용 vs 확인용, 헷갈릴 때 이렇게 구분
홈택스/손택스 화면에서 뽑은 건 일반적으로 ‘근로자 확인용’ 성격입니다. 은행·관공서 등에서 원본 제출을 요구하면 회사 직인이 포함된 원천징수영수증(제출용)을 요청하세요. 급한 심사 일정이라면 미리 인사/총무팀에 전달 기준을 확인해 두는 게 좋습니다.
한눈에 비교 — 발급 경로와 특징
| 구분 | PC(홈택스) | 모바일(손택스) | 비고 |
|---|---|---|---|
| 접속 경로 | My홈택스 → 소득·연말정산 → 지급명세서·원천징수영수증 내역 | 연말정산·지급명세서 메뉴 | 홈택스 원천징수영수증 발급 목적 동일 |
| 저장 방식 | 미리보기 → 인쇄 → PDF | 공유/저장으로 PDF | 기관 제출 전 요구사항 확인 필수 |
| 제출 인정 | 대체로 확인용 | 확인용 표기 가능 | 제출용은 회사 발급 권장 |
| 퇴사 직후 | 회사 제출·국세청 반영 이후 조회 가능 | 안 보이면 회사에 제출 여부 확인 | |
실무 팁 — 급여·세액 빠르게 검증하는 요령
대출 심사나 연말정산 대비로 홈택스 원천징수영수증 발급 이후 꼭 체크할 항목입니다.
- 총급여(또는 총지급액)와 산출세액·결정세액 차이
- 지방소득세(소득세의 10%) 반영 여부
- 여러 직장 소득이 섞인 경우 연도·유형별로 개별 PDF 저장
자주 묻는 오류 & 해결
1) 로그인했는데 내역이 비어요
연도나 소득유형(근로/사업/퇴직)이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귀속연도 재선택 후 다시 조회하세요. 회사 제출 전이면 조회가 안 될 수 있습니다.
2) 은행에서 제출용 원천징수영수증을 요구해요
홈택스/손택스 출력본은 ‘확인용’으로 반려될 수 있습니다. 회사 발급본을 요청하세요.
3) 모바일 파일로 제출해도 되나요?
기관마다 다릅니다. ‘근로자 확인용’ 표기가 문제 될 수 있으니 가급적 회사 발급본으로 제출하세요.
결론
홈택스 원천징수영수증 발급은 PC·모바일 어디서든 어렵지 않습니다. 다만 퇴사 직후엔 회사 제출/국세청 반영이 선행돼야 조회가 열리고, 기관 제출용은 회사 발급본이 가장 안전해요. 위 버튼을 따라 차근차근 진행하면 깔끔하게 정리됩니다.
FAQ
Q1. 퇴사했는데 언제부터 조회가 되나요?
A1. 회사가 지급명세서를 제출하고 국세청 반영이 끝나면 보입니다. 제출 여부를 먼저 확인하세요.
Q2. 연도별로 여러 장이 필요한데 한 번에 받을 수 있나요?
A2. 귀속연도를 바꿔 각각 PDF로 저장하세요. 파일명을 “원천징수영수증_2023.pdf”처럼 정리하면 제출 시 편합니다.
Q3. 제출용이 꼭 필요한지 어떻게 알 수 있죠?
A3. 은행·기관 안내문에 ‘원천징수의무자 발급본’ 또는 직인·서명 요구가 있으면 회사 발급본을 요청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