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뚜라미보일러 에러코드가 뜨면 당황스럽죠. 2025년 현재 기준으로 자주 보이는 01 95 08 03 06 96 02 21 97 22 코드의 의미와 안전하게 점검하는 순서, 그리고 고장 접수 신청 및 상담원 연결 방법을 실제 서비스 프로세스에 맞춰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
안전 우선 절차
보일러 경고는 연소와 가스 배출에 직결되므로 안전이 최우선입니다. 전원 버튼으로 재가동하기 전에 연소실 주변과 연통 차단 여부를 확인하고 가스 밸브 상태를 점검하세요. 불꽃 감지나 과열 계통 에러가 반복되면 즉시 사용을 멈추고 전문 점검을 요청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특히 96 97 22 같이 과열이나 배기 경로 응축수 문제로 의심되는 경우에는 임의 분해를 피하세요.
자주 뜨는 귀뚜라미보일러 에러코드 표 정리
| 코드 | 의미 | 사용자 초기 점검 | 권장 조치 |
|---|---|---|---|
| 01 02 03 | 점화 불량 또는 불꽃 감지 이상 | 가스 밸브 열림 확인 후 보일러와 조절기 전원을 껐다가 재가동 | 반복 시 서비스 점검 요청 |
| 06 | 송풍기 회전수 감지 불가 또는 팬 이상 | 이물 유입 여부 확인 후 재가동 | 지속 시 팬 관련 점검 필요 |
| 08 | 온도조절기 배선 통신 이상 | 조절기 전원 재부팅 배선 간섭 최소화 | 배선 재시공 또는 서비스 요청 |
| 21 | 지진감지 센서 작동 | 진동 상황 해소 후 재가동 | 계속 표시되면 센서 점검 |
| 22 | 응축수 트랩 또는 배수 불량 | 응축수 배수 상태 확인 단 임의 분해 금지 | 트랩 청소 및 배수 라인 점검 |
| 95 | 저수위 또는 급수 미확보 | 단수 여부와 밸브 개방 확인 | 누수 또는 수위센서 점검 |
| 96 | 과열 안전장치 작동 | 분배기 개방 순환펌프 동작 여부 확인 | 막힘 제거 및 순환계통 점검 |
| 97 | 역풍 또는 공기량 부족 | 창문 개방 환기 후 재가동 | 연통 설치 상태와 외기 영향 점검 |
코드별 상세 가이드 일부만 뽑아보기
01 02 03 불꽃 감지 계통
귀뚜라미보일러 에러코드 01 02 03은 점화 불량이나 불꽃 감지 이상일 때 표시됩니다. 장기간 미사용 또는 가스 밸브 잠김으로도 뜰 수 있습니다. 가스 밸브 개방 확인 후 온도조절기 재가동을 하고 동일 증상이 반복되면 점화부와 화염검지부 점검이 필요합니다.
06 21 회전수 감지 및 지진감지
06은 배풍 또는 송풍기 회전수 감지가 안 될 때 주로 발생합니다. 이물 끼임이나 팬 구동 불량이 원인이므로 임의 분해는 피하고 전원 재기동 후 지속되면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21은 지진감지 센서가 작동한 경우로 안전을 위해 동작을 멈춥니다. 주변 진동 요인을 제거하고도 계속 나타나면 센서 진단이 필요합니다.
08 통신 및 배선 간섭
귀뚜라미보일러 에러코드 08은 온도조절기와 본체 사이 배선 길이가 너무 길거나 고압 전원선과의 간섭으로 통신이 불안정할 때 뜹니다. 조절기 재부팅 및 배선 정리로 개선되기도 하지만 반복되면 특수 배선 재시공이 필요합니다.
95 96 과열과 저수위 핵심 포인트
95는 저수위나 급수 미확보로 자주 보입니다. 단수나 밸브 잠김부터 확인하세요. 96은 과열 안전장치 작동으로 분배기 닫힘 순환펌프 정지 필터 막힘 같은 원인이 많습니다. 두 코드 모두 반복되면 순환계통과 센서 상태 점검이 필수입니다. 귀뚜라미보일러 에러코드 95 96은 방치 시 열교환기 손상 위험이 커집니다.
22 97 응축수와 역풍 이슈
22는 콘덴싱 응축수 트랩 막힘이나 배수 불량일 때 잦습니다. 계절에 따라 재발하기 쉬워서 라인 점검이 필요합니다. 97은 강풍 시 역풍으로 연소 공기량이 부족할 때 주로 발생하며 환기 후 재가동하고 연통 설치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귀뚜라미보일러 에러코드 22 97은 배기 경로와 밀접하므로 안전 조치를 우선하세요.
고장 접수 신청과 상담원 연결 방법
공식 채널로 접수하기
공식 접수는 지역 고객센터 또는 온라인 접수로 가능합니다. 대표번호는 1670 4700이며 센터 안내 페이지에서 관할 지역과 연락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복되는 귀뚜라미보일러 에러코드는 증상 메모와 함께 접수하면 진단이 빨라집니다.
전화로 상담원 빠르게 연결하는 요령
연결 시 모델명 설치 시기 증상 발생 시각 에러코드 사진을 준비하면 통화 시간이 단축됩니다. 96 97 22 등 안전 관련 귀뚜라미보일러 에러코드는 현재 사용 중지 상태임을 반드시 알리세요. 야간이나 성수기에는 온라인 접수 후 콜백 요청이 효율적입니다.
현장 기준 점검 루틴
1단계 전원과 가스 상태 점검
차단기와 콘센트 접촉 불량 여부 확인 가스 밸브 개방 확인. 귀뚜라미보일러 에러코드 01 02 03일 때 특히 중요합니다.
2단계 순환과 배기
분배기 개방 펌프 소음과 진동 체크 연통 탈락 누설 결로 여부 확인. 95 96 97 22 대응의 핵심입니다.
3단계 조절기와 배선
조절기 재부팅 배선 간섭 최소화. 08 대응에 효과적입니다.
4단계 반복 시 중지
동일 귀뚜라미보일러 에러코드가 재현되면 즉시 가동 중단 후 접수로 전환합니다.
결론
결론 01 95 08 03 06 96 02 21 97 22 등 귀뚜라미보일러 에러코드는 의미를 알고 안전 절차를 지키면 불필요한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반복 에러는 즉시 사용을 멈추고 공식 채널로 접수하세요.
FAQ
Q1. 전원 재가동으로 지워져도 괜찮을까요
A1. 일시적 노이즈라면 사라질 수 있지만 95 96 22 97처럼 안전 계통은 재현 시 즉시 점검을 권장합니다.
Q2. 08이 자주 뜨는데 배선만 교체하면 해결되나요
A2. 장거리 배선이나 간섭이 원인이면 재시공이 정답입니다. 배선 용량과 라우팅을 함께 점검하세요.
Q3. 95 저수위에서 누수 여부는 어떻게 보나요
A3. 보일러 하부 트랩과 배관 연결부 주변 수분 흔적과 압력계 변동을 확인하고 의심되면 즉시 접수하세요.
Q4. 96 과열이 간헐적으로 뜹니다
A4. 분배기 닫힘 필터 막힘 펌프 간헐 정지를 의심합니다. 순환계통 세척과 펌프 점검을 권장합니다.
Q5. 97 역풍일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A5. 즉시 환기하고 가동 중지 후 강풍 방향과 연통 위치를 점검합니다. 반복되면 연통 재시공을 검토하세요.